Structural/Seismic 7

비틀림 비정형성

1. OUTLINE - 비틀림 비정형성에 대한 상세  2. DETAIL 1) 유연한 격막 vs 강한 격막 -FACT 비틀림 비정형은 유연한 격막에서는 적용하지 않는다.  IBS 기준에 따르면 유연한 격막은   " 슬래브 중앙점 변위가 양단부 지점변위 2배" 인 경우로 정의한다.유연하지 않은 격막(강한격막)의 경우 슬래브는 변형하지 않고(무한강성이므로) 변위만 발생하여 편심에 의한 모서리 측 층간 변위가 발생하지만, 유연한 격막의 경우 편심에 의한 모멘트에 의하여 슬래브 자체가 변화한다.결국 격막이 유연한 경우는 강한 경우에 비하여 변형이 훨씬 더 많이 발생할 수 있으며, 이에 따라 특정 한 부위에 응력이 집중될 수 있다. - OPINION유연한 격막의 경우 바닥슬래브를 실제와 비슷하게 모델링 하여 설계한..

Structural/Seismic 2025.01.12

수직 및 수평 비정형성 Ⅰ

1. 문제 2. OUTLINE- 최근 1년동안 2번 빈출된 문제. 2~4교시 영역에서는 처음 나왔지만 1교시영역에서는 종종 나왔던 문제다.  - 큰 틀에서 비정형성의 정의 , 내진설계범주에 따른 상세  2가지로 구성되어 있다.  - 내진설계 범주에 따른 상세의 구체적인 내용까지 자세하게 기술하면 좋지만 보통 비정형성 유형 및 상세의  간략한 내용만 쉬지 않고 써도 30분 정도 걸린다. 어떻게 간략하게 쓸지 고민해봐야 하는 지점이 있다.   3. SOLUTION

Structural/Seismic 2025.01.11

내진

1. 같이 스터디 하시는 형님이랑 구조기술사 내진파트를 정리한 결과를 공유해볼까 한다. 항상 발목을 잡아 짜증났던 내진이 어느정도 마무리 되는 것 같은데.. 나름 자주 빈출되는 유형을 몇가지 추려보았다.  이 이상은 더 공부하기에 손익비가 안맞다고 판단하였고. 대충 10개 정도되는 토픽만 기출문제까지 싹 발라먹어 시험장에 들어가면 그래도 나쁘지 않을 것 같아서 정리를 시작하였다.  2. 대충 2번이상 빈출 된 유형은 11개로 추려진다.  주관적으로 중요하다고 생각하는 유형 순으로 표로 정리하였다. 이정도만 풀고 합격하고싶다.. 비정형- 수직 수평 비정형성 각각 5개씩 .- 수직 비정형성 무시해도 되는 조건 - 가능하면 내진설계범주에 따른 설계조건까지 다 쓰기내진설계범주- 그냥 지반조건 보고 Sd1, Sd..

Structural/Seismic 2024.12.26